미세먼지 상식

미세먼지 발생·측정

게시글 검색
  • A

    먼지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부름 

    미세먼지(PM10) : 지름 10㎛ 이하로 초미세먼지를 포함

    초미세먼지(PM2.5) : 지름2.5㎛ 이하로 미세먼지보다 더 작음 


    ㅇ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속에는 수많은 먼지가 떠다닙니다이 가운데 초미세먼지는석탄이나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거나공장과 자동차에서 가스가 

         배출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ㅇ 지름 10㎛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고 부르고미세먼지 중에서 지름 2.5㎛이하의 먼지를초미세먼지라고 부릅니다초미세먼지의 지름은 머리카락 

        두께의 20분의 1정도에 불과하지만미세먼지보다 유해성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세먼지 크기 비교

    미세먼지 크기 비교
    초미세먼지 PM2.5은 연소입자, 유기화합물, 금속 등으로 2.5㎛보다 작다.
    미세먼지 PM10은 먼지, 꽃가루, 곰팡이 등으로 10㎛보다 작다.
    사람 머리카락은 50-70㎛ 지름이다.
    해변의 고운 모래는 90㎛ 입자지름이다.
    출처: 미국환경보호청(EPA)
  • A

    미세먼지 발생은 국내 배출과 국외 영향으로 구분되며월별(계절별기상조건(바람강수 등)에 따라 다름 


    ㅇ 미세먼지 농도는 배출과 기상대기 중 오염물질에 의한 2차 생성에 의해 결정되는데우리나라 미세먼지에 영향을 주는 주요원인은 국내배출과 국외 영향으로 구분되며

       월별(계절별기상조건에 따라 국내·외기여도는 달라집니다.


    ㅇ 국내 배출에 있어 사업장 배출이 전국적으로 가장 많고수도권의 경우는 경유차 배출이 가장 많으며, 국내 미세먼지에 대한 국외 영향은 평상시에는 절반 수준이지만 

        고농도 시에는 사례별로 다르나 국외영향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A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은 사업장, 자동차, 발전소, 건설기계 등이며전국 총 배출량은 5만 7천톤, 수도권 총 배출량은 1만 4천톤임


    ㅇ 미세먼지 배출원이란 미세먼지를 대기 중으로 발생시키는 근원지를 말하며 주요 배출원은 사업장, 건설기계, 발전소, 자동차(경유차, 휘발유차 등), 냉난방, 

        비산먼지, 생물성연소, 유기용제 사용 등 입니다.


    ㅇ '21년을 기준('23.12월 발표)으로 우리나라 미세먼지 전체 배출량은 5만 7천톤이며, 이 중 수도권에서 1만 4천톤이 배출됩니다.

        * (전국) 비산먼지 1만 6천톤, 건설기계 등 1만 4천톤, 생물성 연소 1만 2천톤 순으로 배출

          (수도권) 비산먼지 6천톤, 건설기계 등 3천톤, 생물성 연소 2천톤 순으로 배출



    참고

     '21년 미세먼지 배출원별 배출량 및 기여율


  • A

     1999년에 7개 물질을 대상으로 배출량 산정을 시작하였으며 2011년에 PM2.5, 2014년에 BC를 추가하여 현재는 총 9개 물질*에 대해 배출량을 산정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총먼지(TSP), 미세먼지(PM10),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암모니아(NH3), 초미세먼지(PM2.5), 블랙 카본(BC) 


     ◦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대기정책지원시스템(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을 기반으로 1999년부터 
          배출량 산정을 시작하였습니다.

     ◦ 1999년에는 총 7개 대기오염물질(CO, NOx, SOx, TSP, PM10, VOCs, NH3)에 대해 배출량은 산정하였으나, 2011년에 PM2.5를 추가하고 2014년에 
         블랙카본(Black Carbon, BC)을 추가하여 현재는 총 9개 물질에 대한 배출량을산정하고 있습니다.


  • A


    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초통계 자료 수집과 검토 작업에 2년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는 국가 공식자료로서 국가 또는 공공기관에서는 공식 통계자료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 배출량 산정에 활용되는 기초 국가통계 입수까지 1년 이상이 걸리며, 통계자료 입수 후 검토 및 검증, 배출량 산정까지 합하면 

        2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배출량 산정 시점과 대상연도에 있어 물리적 시간차의 존재는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 미국의 경우도 3년마다 공식 배출량 자료가 공포되며 약 3년의 시간차가 존재합니다.





  • A

    전체 13종 951개소의 측정망이 운영되고 있으며, 미세먼지 예·경보제에 활용되는 지자체 도시대기측정망은 529개소임

    ◦ 2024년 5월 기준, 대기오염 측정망은 전국 951개소가 있으며, 미세먼지 예·경보제에 활용되는 지자체 도시대기측정망은 전국 529개소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 그 외 도로변대기측정망(62개소), PM-2.5 성분측정망(43개소), 집중측정망(11개소), 국가배경농도측정망(도서·선박)(46개소), 교외대기측정망(27개소), 광화학측정망(20개소), 유해대기측정망(62개소) 등


  • A

    미세먼지 농도 단위는 ㎍/㎥로마이크로그램 퍼 세제곱미터로 읽으며측정방법은 중량법과 베타선법이 있음

    ◦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미세먼지 측정농도 단위는 ㎍/㎥로, ‘마이크로그램 퍼 세제곱미터라고 읽습니다이는 1㎥의 공기 안에 있는 미세먼지의 중량(㎍이란g의 백만분의 1에 해당하는 단위)을 의미합니다.

    ◦ 미세먼지 측정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포집된 미세먼지의 중량을 저울로 재는 방식인 중량법과 미세먼지에 흡수되는 베타선의 양으로 농도를 자동 측정하는 베타선법이 있습니다


    미세먼지 측정기구 예시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