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상식

게시글 검색
  • A

    시중의 간이측정기는 국가·지자체 측정망에 사용되는 기기에 비해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낮음.  다만참고용으로 활용 가능하며 국민편의를 위해 성능인증제를 도입한 바 있음(‘19.8.15.)

    ◦ 미세먼지 간이측정기는 공기 중의 입자에 빛을 쏘아 발생하는 산란광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측정결과를 제공하는 기기로, 습도 등 외부 영향을 많이 받아 측정결과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다만최근 미세먼지 수치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저렴하고 휴대성이 높은 간이측정기의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19.8.15.부터 간이측정기 성능인증제’를 도입하여 시행 중에 있습니다.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성능등급평가 기준 />    구분-시험체임버 평가(반복재현성)-등가성 평가(상대정밀도, 자료획득률, 정확도, 결정계수)  1등급-반복재현성: 80% 초과 -상대정밀도: 80% 초과 -자료획득률: 80% 초과 -정확도:80% 초과 -결정계수: 0.8 초과  2등급-반복재현성: 70% 초과, 80% 이하 -상대정밀도: 70% 초과, 80% 이하 -자료획득률:- -정확도:70% 초과, 80% 이하 -결정계수: 0.7 초과, 0.8 이하  3등급-반복재현성: 60% 초과, 70% 이하 -상대정밀도: 60% 초과, 70% 이하 -자료획득률:- -정확도:50% 초과, 70% 이하 -결정계수: 0.6 초과, 0.7 이하  등급 외-반복재현성: 60% 이하 -상대정밀도: 60% 이하 -자료획득률: 80% 이하 -정확도:50% 이하 -결정계수: 0.6이하   ※ 반복재현성 평가결과 등급 외 의 평가가 나오면 다른 평가는 진행하지 않음 ※ 5개 평가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을 최종 등급으로 결정

  • A

    전체 11종 730개소의 측정망이 운영되고 있으며미세먼지 경보제에 활용되는 도시대기측정망은 446개소임 

    2020년 6월 기준대기오염 측정망은 전국 730개소가 있으며미세먼지 예·경보제에 활용되는 도시대기측정망은 전국 446개소가 운영되고있습니다.

    ◦ 또한 그 외에도 도로변대기측정망(46개소), PM2.5성분측정망(42개소), 집중측정망(7개소), 국가배경농도측정망(3개소), 교외대기측정망(22개소), 광화학측정망(19개소), 유해대기측정망(39개소등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 A

    미세먼지 농도 단위는 ㎍/㎥로마이크로그램 퍼 세제곱미터로 읽으며측정방법은 중량법과 베타선법이 있음

    ◦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미세먼지 측정농도 단위는 ㎍/㎥로, ‘마이크로그램 퍼 세제곱미터라고 읽습니다이는 1㎥의 공기 안에 있는 미세먼지의 중량(㎍이란g의 백만분의 1에 해당하는 단위)을 의미합니다.

    ◦ 미세먼지 측정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포집된 미세먼지의 중량을 저울로 재는 방식인 중량법과 미세먼지에 흡수되는 베타선의 양으로 농도를 자동 측정하는 베타선법이 있습니다


    미세먼지 측정기구 예시 이미지

  • A

     1999년에 7개 물질을 대상으로 배출량 산정을 시작하였으며 2011년에 PM2.5, 2014년에 BC를 추가하여 현재는 총 9개 물질*에 대해 배출량을 산정

     *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총먼지(TSP), 미세먼지(PM10),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암모니아(NH3), 초미세먼지(PM2.5), 블랙      카본(BC) 

    ◦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대기정책지원시스템(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을 기반으로 1999년부터 배출량산정을 시작하였습니다.

    1999년에는 총 7개 대기오염물질(CO, NOx, SOx, TSP, PM10, VOCs, NH3)에 대해 배출량은 산정하였으나, 2011년에 PM2.5를 추가하고 2014년에 블랙카본(Black Carbon, BC)을 추가하여 현재는 총 9개 물질에 대한 배출량을산정하고 있습니다.

  • A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은 사업장, 자동차, 발전소, 건설기계 등이며전국 총 배출량은 약 32만톤수도권 총 배출량은 58천톤임 


    ㅇ 미세먼지 배출원이란 미세먼지를 대기 중으로 발생시키는 근원지를 말하며 주요 배출원은 사업장건설기계 등 비도로이동오염원, 자동차(경유차 및 휘발유차 등), 발전소냉난방, 비산먼지생물성 연소유기용제 사용 등입니다.


    ㅇ ‘17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미세먼지 전체 배출량은 약 32톤이며이 중 수도권에서 5만 8천톤이 배출됩니다.


        * (전국사업장 12만 6천톤건설기계 등 5만 3천톤경유차 4톤 순으로 배출

             (수도권경유차 1만5천톤건설기계 등 12천톤사업장  6천톤 순으로 배출


    참고

    ‘17년 미세먼지 배출원별 배출량 및 기여율


                                             <수도권>                                                                                       <전국>

    17년 미세먼지 배출원별 배출량 및 기여율

    수도권 지역 17년 미세먼지 배출원별 배출량 및 기여율
    범위: 0에서 16,000톤/연간, 1차배출 및 2차생성을 합산
    1. 1위 경유차 26%
    2. 2위 건설기계 등 20%
    3. 3위 사업장 11%
    4. 4위 비산먼지 10%
    5. 5위 유기용제 9%
    6. 6위 냉난방 등 9%
    7. 수도권 기타배출원: 발전소 8%, 생물성연소 4%, 휘발유차 등 3%
    전국 17년 미세먼지 배출원별 배출량 및 기여율
    범위: 0에서 140,000톤/연간, 1차배출 및 2차생성을 합산
    1. 1위 사업장 39%
    2. 2위 건설기계 등 17%
    3. 3위 경유차 13%
    4. 4위 발전소 11%
    5. 5위 비산먼지 6%
    6. 6위 냉난방 등 5%
    7. 전국 기타배출원: 생물성연소 5%, 유기용제 4%, 휘발유차 등 1%

    * PM2.5배출량 직접배출 및 2차생성 고려하여 재산정

  • A

    미세먼지 발생은 국내 배출과 국외 영향으로 구분되며월별(계절별기상조건(바람강수 등)에 따라 다름 


    ㅇ 미세먼지 농도는 배출과 기상대기 중 오염물질에 의한 2차 생성에 의해 결정되는데우리나라 미세먼지에 영향을 주는 주요원인은 국내배출과 국외 영향으로 구분되며월별(계절별기상조건에 따라 국내·외기여도는 달라집니다.


    ㅇ 국내 배출에 있어 사업장 배출이 전국적으로 가장 많고수도권의 경우는 경유차 배출이 가장 많습니다국외 영향도 약 40~70% 정도기인합니다.



  • A

    먼지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부름 

    미세먼지(PM10) : 지름 10㎛ 이하로 초미세먼지를 포함

    초미세먼지(PM2.5) : 지름2.5㎛ 이하로 미세먼지보다 더 작음 


    ㅇ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속에는 수많은 먼지가 떠다닙니다이 가운데 초미세먼지는석탄이나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거나공장과 자동차에서 가스가 배출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ㅇ 지름 10㎛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고 부르고미세먼지 중에서 지름 2.5㎛이하의 먼지를초미세먼지라고 부릅니다초미세먼지의 지름은 머리카락 두께의20분의 1정도에 불과하지만미세먼지보다 유해성은 크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미세먼지 크기 비교

    미세먼지 크기 비교
    초미세먼지 PM2.5은 연소입자, 유기화합물, 금속 등으로 2.5㎛보다 작다.
    미세먼지 PM10은 먼지, 꽃가루, 곰팡이 등으로 10㎛보다 작다.
    사람 머리카락은 50-70㎛ 지름이다.
    해변의 고운 모래는 90㎛ 입자지름이다.
    출처: 미국환경보호청(E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