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예보
-
A
‘관측, 예측모델링, 예보등급결정, 전파’의 4단계로 이루어짐
◦ 미세먼지 예보는 ‘관측(감시), 모델(예측모델링), 예측(예보등급결정), 전달(전파)’의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관측과 대기질 모델 결과를 바탕으로 예보관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예보등급을 결정하여 발표합니다.
* 환경부( www.airkorea.or.kr) 기상청( www.weather.go.kr)에서 확인 가능
-
A
미세먼지 오염도 기준으로 4단계(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가 있습니다 .
ㅇ 미세먼지 예보등급은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의 4단계로 구분합니다.
ㅇ 예보등급 구분에는 국제기구(WHO 권고치), 국외 사례, 국내 대기질 상황, 전문가 의견등이 반영되었고, 인체위해성(risk assessment)을 근거로 설정하였습니다.
* 미세먼지 예보는 미세먼지(PM10)과 초미세먼지(PM2.5) 중 더 나쁜 등급을 기준으로 발표
-
A
예보제는 미래의 농도를 사전에 예측하여 제공하는 것이고, 경보제는 실제 대기질 농도가 나쁠 경우 발령
ㅇ 미세먼지 경보제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국민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ㅇ 미세먼지 예보는 미래의 대기질 예측인 반면, 미세먼지 경보는 실제대기질이 건강에 유해한 수준일 때 발령하며, 발령주체는 지자체장입니다.
ㅇ 대기오염경보가 발령된 경우 지자체장은 경보단계(주의보, 경보)에 따라 주민건강보호와 대기오염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참고
대기오염경보 단계별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기준(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7)
-
A
에어코리아 홈페이지, 모바일 앱, 콜센터(131)에서 확인 가능
◦미세먼지 예보결과는 에어코리아 홈페이지(airkorea.or.kr) 및 모바일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 내일, 모레 예보결과와 원인분석이 함께 제공됩니다.
◦대기질 예보 문자메시지 서비스 및 콜센터(131)를 통해서도 미세먼지 예보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
A
미세먼지 예보는 일평균 농도가 기준이 되므로 차이가 날 수 있음
◦ 예보는 미래 일평균 농도에 대한 예측 정보이며, 에어코리아(대기환경정보실시간공개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한 농도는 실제 시간평균 농도값입니다.
◦ 또한 미세먼지 예보는 일반적으로 일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국제기구를 비롯해 미국, 영국, 프랑스 등에서도 일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미세먼지 예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A
2023년의 경우, 전체 평균 87% 수준의 예보정확도를 보였음
◦ 2023년 전체 기간의 예보정확도는 PM-10 87%, PM-2.5 86%를, 고농도 시 예보정확도는 PM-10 76%, PM-2.5 83%를 기록하였습니다.
◦ 이는 예보 초기인 2014년에 비해 전체 예보정확도는 PM-10 4%p, PM-2.5 6%p, 고농도 시 예보정확도는 PM-10 22%p, PM-2.5 19%p 상승한 수치이며, 최근 5년간 전체 예보정확도는 안정적으로 80%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