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상식

미세먼지 예보

게시글 검색
  • A

    관측예측모델링예보등급결정전파4단계로 이루어짐

    ◦ 미세먼지 예보는 관측(감시), 모델(예측모델링), 예측(예보등급결정), 전달(전파)’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관측과 대기질 모델 결과를 바탕으로 예보관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예보등급을 결정하여 발표합니다.

    환경부( www.airkorea.or.kr기상청( www.weather.go.kr)에서 확인 가능


    참고

미세먼지 예보 과정

[이미지: 국가 대기질 예보 - 관측(감시), 모델(분석), 예측(생산), 전달(활용) 순환 과정 표시]

- 관측(감시): 기상과 대기질의 변화를 감시하고 추세를 파악하는 단계
  ※ 전국에 설치된 측정망의 미세먼지, 황사 실시간 농도와 기상청 슈퍼컴퓨터에서 산출한 기상예보 결과 등 다양한 자료를 분석

- 예측모델링: 수치모델을 사용해 다양한 기상조건에서 오염물질 배출량을 대기오염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

- 예보등급결정: 관측된 자료와 수치모델 결과를 바탕으로 예보관의 지식과 경험을 이용해 예보를 생산하는 단계

- 전달(활용): 환경부와 기상청의 공동 통보체계를 통해 예보를 전달하는 단계
  * 황사·미세먼지 예보결과는 '방재기상포털시스템(기상청)'과 '에어코리아(환경부)'에 공동 게재



  • A

    미세먼지 오염도 기준으로 4단계(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가 있습니다 .


    ㅇ 미세먼지 예보등급은 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 의 4단계로 구분합니다.


    ㅇ 예보등급 구분에는 국제기구(WHO 권고치), 국외 사례국내 대기질 상황전문가 의견등이 반영되었고인체위해성(risk assessment)을 근거로 설정하였습니다.

       * 미세먼지 예보는 미세먼지(PM10)과 초미세먼지(PM2.5) 중 더 나쁜 등급을 기준으로 발표


    <미세먼지 예보등급>

미세먼지 농도 (µg/m³, 일평균)

| PM10 | PM2.5 |
|:--:|:---:|
| 좋음 | 0~30 | 0~15 |
| 보통 | 31~80 | 16~35 |
| 나쁨 | 81~150 | 36~75 |
| 매우 나쁨 | 151 이상 | 76 이상 |

참고: 미세먼지 예보 등급 설정 근거

| 예보등급 | 선진국 위해성 기준 및 미세먼지 등급 |
|:---:|:---:|
| 좋음 ~ 보통 | (위해성) 일반인뿐만 아니라 민감군에게도 영향이 유발되지 않는 수준 (사례) 독일: 안전/보통 경계 35 µg/m³ <br>프랑스: 매우 낮음/낮음 경계 25 µg/m³ |
| 나쁨 | (위해성) 심혈관질환 4.7%, 만성폐쇄성폐질환 9.4%, 천식 24% 증가 (사례) 영국: 보통/높음 경계 76 µg/m³ 프랑스: 보통/높음 경계 90 µg/m³ |
| 매우 나쁨 | (위해성) 일 사망률 5% 증가 ※ WHO 2005년 가이드라인 (사례) 미국: 민감군 영향 155 µg/m³ ~ 중국: 환경기준 150 µg/m³ |

* 초미세먼지(PM2.5)의 경우 미세먼지(PM10)와의 분율(약 50%)을 고려하여 등급 설정



  • A

    예보제는 미래의 농도를 사전에 예측하여 제공하는 것이고경보제는 실제 대기질 농도가 나쁠 경우 발령



    ㅇ 미세먼지 경보제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국민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ㅇ 미세먼지 예보는 미래의 대기질 예측인 반면미세먼지 경보는 실제대기질이 건강에 유해한 수준일 때 발령하며발령주체는 지자체장입니다.


    ㅇ 대기오염경보가 발령된 경우 지자체장은 경보단계(주의보경보)에 따라 주민건강보호와 대기오염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참고

       대기오염경보 단계별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기준(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7)

    대상물질 | 정보단계 | 발령기준 | 해제기준
---|---|---|---
PM10 | 주의보 |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 대기자동측정소 PM10 시간당 평균농도가 150µg/m³ 이상 2시간 이상 지속될 때 | 주의보가 발령된 지역의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대기자동측정소 PM10 시간당 평균농도가 100µg/m³ 미만일 때
PM10 | 경보 |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 대기자동측정소 PM10 시간당 평균농도가 300µg/m³ 이상 2시간 이상 지속될 때 | 경보가 발령된 지역의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대기자동측정소 PM10 시간당 평균농도가 150µg/m³ 미만일 때는 주의보로 전환
PM2.5 | 주의보 |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 대기자동측정소 PM2.5 시간당 평균농도가 75µg/m³ 이상 2시간 이상 지속될 때 | 주의보가 발령된 지역의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대기자동측정소 PM2.5 시간당 평균농도가 35µg/m³ 미만일 때
PM2.5 | 경보 |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 대기자동측정소 PM2.5 시간당 평균농도가 150µg/m³ 이상 2시간 이상 지속될 때 | 경보가 발령된 지역의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대기자동측정소 PM2.5 시간당 평균농도가 75µg/m³ 미만일 때는 주의보로 전환



  • A

    에어코리아 홈페이지모바일 앱콜센터(131)에서 확인 가능

    ◦미세먼지 예보결과는 에어코리아 홈페이지(airkorea.or.kr) 및 모바일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오늘내일모레 예보결과와 원인분석이 함께 제공됩니다.

    ◦대기질 예보 문자메시지 서비스 및 콜센터(131)를 통해서도 미세먼지 예보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 A

    미세먼지 예보는 일평균 농도가 기준이 되므로 차이가 날 수 있음

    ◦ 예보는 미래 일평균 농도에 대한 예측 정보이며에어코리아(대기환경정보실시간공개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한 농도는 실제 시간평균 농도값입니다

    ◦ 또한 미세먼지 예보는 일반적으로 일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국제기구를 비롯해 미국영국프랑스 등에서도 일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미세먼지 예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A

    2023년의 경우, 전체 평균 87% 수준의 예보정확도를 보였음 

     2023년 전체 기간의 예보정확도는 PM-10 87%, PM-2.5 86%를, 고농도 시 예보정확도는 PM-10 76%, PM-2.5 83%를 기록하였습니다.

    ◦ 이는 예보 초기인 2014년에 비해 전체 예보정확도는 PM-10 4%p, PM-2.5 6%p, 고농도 시 예보정확도는 PM-10 22%p, PM-2.5 19%p 상승한 수치이며,  최근 5년간 전체 예보정확도는 안정적으로 80%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참고 (최근 5년) 미세먼지 예보정확도 현황

※ 2일예보(오늘·내일) 정확도

구분               | 고농도 발생 시  | 전 체
                   | 2019 2020 2021 2022 2023 | 2019 2020 2021 2022 2023
미세먼지 (PM₁₀)    | 67   44   70   76   76   | 87   88   89   89   87
초미세먼지 (PM₂.₅) | 79   81   78   83   83   | 87   86   87   86   86